새로 보는 한국음악사 (1) - 전인평 명예이사


새로 보는 한국음악사 (1) - 전인평 명예이사

최고관리자 0 591

표지-새로 보는 한국음악사_.jpg

 

 

책 소개

<새로 보는 한국음악사 > 출판사: 아시아음악, 670, 15,000)

 

왜 새로 보아야 하는가?

 

한국문화는 한반도에서 홀로 발전해 왔을까? 아니다. 끊임없이 외래 문화와 교류하며 혼융의 결과로 이루어진 것이 한국음악이다.

고구려는 실크로드를 통하여 서역음악(중앙 아시아)과 교류하였고, 신라는 당악을, 고려는 송의 대성아악을, 조선은 예악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고, 현대에는 서양음악을 수용하였다.

오늘날 한국음악계의 K-classicK-pop이 세계를 휘어잡는 것은 바로 이러한 교류와 혼융의 결과이다. 고구려는 중앙아시아의 장구를, 신라는 당의 비파를 수용하였다. 고려는 대성아악을 받아들여 우리나라 무형문화재 1호인 종묘제례악이 탄생하였다

현대에는 서양음악을 수용하여 피아니스트 임윤찬과 세계를 흔드는 BTS를 출현시켰다. 필자가 새롭게 보고 싶은 것은 바로 이러한 한국음악계의 교류와 혼융의 역사이다

이 도서는 이러한 상황 인식에서 한국음악사를 객관적으로 보기 위하여 밖에서 보는 한국음악사를 서술하려 노력하였다. 이런 점은 기존 학설이나 기존 개론서와 매우 달라서 불편해할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이제 필자가 2000년에 발행한 <새로운 한국음악사>를 증보 수정하여 <새로 보는 한국음악사>를 출간하게 되었다. 이번 수정 증보 편에서는 필자가 전에 설정한 근대가 너무 광범위하다는 생각이 들어, 근대를 근세와 근대 둘로 나누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생각에 이르렀다. 역사서 저술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시대 구분인데, 이 개정 작업으로 독자들이 더욱 선명하게 한국음악사 전개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24년 전 발간한 이 <새로 보는 한국음악사>(2000)는 그동안 이혜구 장사훈 송방송 황준연 백대웅 송혜진 전지영 등의 시각과 매우 다르다. 이러한 다름은 상호 보완 작업을 하여 한국음악사의 흐름을 보다 더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워 주리라 생각한다.

 


0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6 명
  • 오늘 방문자 1,162 명
  • 어제 방문자 1,137 명
  • 최대 방문자 3,248 명
  • 전체 방문자 624,514 명
  • 전체 게시물 820 개
  • 전체 댓글수 3 개
  • 전체 회원수 7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